본문 바로가기
책 읽어주는 남자/Bibliomania

[열정분식소] GRIT 그릿(앤젤라 더크워스)

by 오이코스(Oikos) 2020. 5. 10.

 

IQ, 재능, 환경을 뛰어넘는 열정적 끈기의 힘

IQ가 높고 재능이 특출나며 누구나 부러워할만한 환경을 가진 사람들이 성공하는가? 이 GRIT이라는 책은 이에대하뉴해답을 제시한다

 

그릿, 성공의 필요조건
크게 성공한 사람들은 왜 그렇게 끈덕지게 자신의 일에 매달렸을까? 그들 대부분이 사실당 달성이 불가능해 보일 만큼 큰 야망을 품고 있었다. 그들의 눈에는 자신이 늘 부족해 보였다. 그들은 현실에 안주하는 사람들과는 정반대였다. 그럼에도 불만을 가지는 자신에게 정말로 만족을 느꼈다. 그들 각자가 비할 바 없이 흥미롭고 중요한 일을 한다고 샹각했고, 목표의 달성만큼 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만족을 느꼈다. 그들이 해야만 하는 일 중에서 일부는 지루하고 좌절감을 안기고 심지어 고통스럽다고 해도 그들은 추호도 포기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들의 열정은 오래 지속됐다.
요컨대 분야에 상관없이 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은 굳건한 결의를 보였고 이는 두 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첫째, 그들은 대단히 회복력이 강하고 근면했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성공한 사람들이 가진 특별한 점은 열정과 결합된 끈기였다. 한마디로 그들에게는 그릿 grit이 있었다.

Grit은 사전적으로 투지, 끈기, 불굴의 의지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다.

 

 

재능보다 두 배 더 중요한 노력

몇 년 전 승부욕이 강한 수영선수들을 연구한 논문 탁월성의 일상성 Mundanity of Excellence을 읽은 적이 있다. 이 논문의 주요 결론은 제목에 압축되어 있듯이 빛나는 인간의 업적이 실은 평범해 보이는 무수한 개별 요소의 합이라는 것이다.
이 논문의 저자인 사회학자 댄 챔블리스 Dan Chambliss는 이렇게 말한다. 최상급 기량은 사실 수십 개의 작은 기술 및 동작 하나하나를 배우거나 우연히 깨치고 주의 깊은 연습을 통해 습관을 만들고 전체 동작으로 종합해서 나온 결과물이다. 부분 동닥들 중에서 비범하거나 초인적인 동작은 하나도 없다. 정확하게 실행된 동작들이 합해져 탁월한 기량이 나올 뿐이다.
챔블리스는 탁월한 기량을 갖추기까지 들인 수많은 시간, 나날, 주, 해를 저속 촬영한다면 다른 사람들도 그가 봐왔듯이 평범한 동작들이 합해져 빼어난 기량이 완성되는 과정을 볼 수 있으리라고 주장한다.

 

당신의 최상위 목표는 무엇인가?

당신에게는 인생 철학이 있습니까?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린 투수 톰 시버를 생각해보자. 그는 1987년 42세의 나이로 은퇴하기까지 311승, 탈삼진, 3,640회, 완봉승 61회, 평균자책점 2.86의 기록을 수립했다. 1992년에는 98.8퍼센트라는 역대 최고의 득표율로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시버는 20년에 이르는 프로 야구 선수 시절에 날마다 해마다 내가 던질 수 있는 최상의 피칭을 목표로 했다. 그런 목표는 하위 목표에 의미와 체계를 부여했다. 내가 무엇을 먹고, 언제 잠을 자고, 깨어 있을 때 무엇을 할지, 전부 피칭을 염두에 두고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일과화싱을 입으면 며칠 동안 공을 던지지 못할 수도 있습니나. 때문에 플로리다에 가서도 선탠을 피하고, 절대 셔츠를 밧지 않습니다. 피칭을 위해 오른손을 아껴야 하므로 개를 쓰다듬음 때나 난로에 장작을 낳을 때는 왼손을 사용합니다. 채중을 줄여야 하므로 겨울에는 초콜릿 쿠키 대신 코티지치즈를 먹습니다.
내가 말하는 열정은 단순히 관심있는 일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것은 동일한 최상위 목표에 변함없이 성실하고 꾸준하게 관심을 둔다는 의미이다.

열정은 우선순위를 확실하게 만든다.

 

 

열정을 가진 사람이 목표를 향해 차근차근 전진한다면 계단식으로 성장해나갈것이라 믿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