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제21
1. 개요 1992년 6월 리우회의(유엔환경개발회의: UNCED)를 통해 채택된 리우선언의 실천계획으로 21세기를 향한 지구환경 보전 종합계획이다. 지방의제21은 주민, 기업, 지방정부 등 지역사회 구성원이 참여하여 사회, 경제, 환경 등 지역문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지역단위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행동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일상생활에 실천해나가는 지역사회운동이다. 2. 개념과 지향점 - 개념 지구환경보호, 도시환경보전울 위한 행동원칙, 목표기준 지역사회 모든 부문과의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과정 - 지방의제21 지향점 지속가능한 개발 경제, 사회, 환경문제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개발 사회, 경제적 측면, 개발에 대한 자원의 보전과 관계와 연관 파트너십 주요 단체의 역할강화 지방정부의 주요 그룹이 협조,..
2024. 3. 27.
환경관리에 있어 지속가능성의 개념 및 유형과 이론
1. 개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의미하며 물, 에너지, 기후변화와 대기, 토지, 해양연안, 생물다양성, 사막화 방지, 생태계와 산림 보존의 영역을 포함한다. 2. 지속가능성의 개념, 유형 - 지속가능성의 개념 ▪︎국가간 환경 공평성 ▪︎세대간 자원이용의 공평성 ▪︎자원보존의 효율성 - 지속가능성의 유형 ▪︎환경적 지속가능성 : 자연환경, 생태계 지속성 등 ▪︎사회적 지속가능성 : 역사, 문화, 정치, 인권 등 ▪︎경제적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한 성장과 소비, 일자리, 경제성장 등 3. 환경관리에 있어 지속가능성 이론 - 약한형태의 지속가능성 ▪︎ 자본의 제한은 있으나 대체와 유지 가능 ▪︎인간중심적 ▪︎미래세대를 위하여 경제발전의 ..
2024. 3. 26.